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ADSP 17회 시험 후기

DATA ANALYSIS/1. ADsP(데이터분석 준전문가)

by 스터디로거 2018. 6. 5. 12:06

본문

반응형

2018년 6월 2일 동국대에서 ADSP 17회 시험에 응시했습니다.  

5월 초에 시험 접수를 했으니 공부한 기간은 한달 정도가 되겠네요. 

비 전공자에 시험기간이 너무 촉박해서 시험준비가 꽤나 힘들었습니다.

응시자 연령대는 다양해 보였습니다. 교수님 같은 분들도 계셨고, 양복입고 단체로 들어온 직장인들도 있었고, 대학생도 있었고..

커뮤니티에서 17회 난이도가 어렵다는 원성이 자자했는데, 결국 출제범위 밖에서 나온 3문제는 정답 처리해준다는 진흥원 공지도 있었습니다.


[공부 방법]

교재는 데이터 진흥원 공식 가이드 북과 문제집을 사용했습니다. 

가이드 책이 처음 보기엔 두껍고 글자도 작고 정리도 안되어 있는 거 같지만 읽다보면 제법 읽을만하고 익숙해졌기도 하고.. 새로운 책을 보느라 적응하는 것보다 기존 책을 계속 반복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교재의 귀퉁이에서도 문제가 나온다는 말에 가급적 교재의 모든 텍스트를 읽어가며 키워드가 나오는 부분은 밑줄을 그어두었습니다.  읽는다고 다 기억나지는 않지만 두세번 반복하니 시험볼때 떠오르는게 있긴 하더라구요.. 다 이해하기보다는 무작정 반복해서 교재 읽어보고 써보고 했습니다. 

1,3 과목은 암기가 많아서 제일 먼저 읽어보고  내용 정리해놓은 후, 4과목에 집중했습니다.  통계 코드가 나오는 부분은 대부분 R스튜디오에서 돌려보고 결과를 확인했는데, 교재에서 해석에 대한 부분을 자세히 설명하지 않아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ㅠㅠ 그 부분은 유투브를 찾아보기도 하고 다른 책을 찾아보며 최대한 이해해보려고 노력했습니다. 


기억나는 문제 키워드 위주로 몇가지 복원해보겠습니다.

[1과목 데이터 이해]

- 데이터와 통신하기 위한 언어 ->SQL

- 맥주 사는 사람이 기저귀도 산다 -> 연관성 분석

-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관리하는 DBMS -> 객체지향 DBMS

- 개인정보 무작위 처리 -> 익명화라고 썼는데, 이게 맞다는 사람도 있고, 난수화가 답이라는 의견도 분분함..

- 외부 공급업체와 통합 정보 관리 시스템 -> SCM (주관식)

- 데이터 웨어하우스 정의를 문제로 낸 것도 있었음.

- 빅데이터에서의 분석 관계.  상관관계 


[3과목 데이터 분석 기획]

- 비즈니스 역량 성숙도 측정 ->CMMI

- 같은 발표를 듣고도 다르게 해석하는(?) 현상 ->프레이밍 효과

- 분석 방법은 알지만 대상을 모를 경우 -> Insight 필요하다

-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구성단위 알고 있는지 확인하는 문제

-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의 분석기획 단계 순서

- 분산 구조의 조직이 빠른 실무 적용이 어렵다고 한 것이 틀린 설명인 것. (분산구조 장점이 신속성)


[4과목 데이터 분석]

- R 분석 결과 화면을 주고 해석하는 문제. 범주형 변수 의미를 알아야 함.

- K평균 군집은 이동할 수 없다는 게 오답. K평균은 비 계층적이어서 단계별로 군집이 이동될 수도 있다.

- 데이터 회귀분석에 방향이 backword인데 전진 선택법을 썼다고 한 것이 오답

- 산점도와 피어슨 상관관계 설명 묻는 문제

- 비모수 검정 방법 부적절한 것

- t-test 결과 화면에 대한 이해를 묻는 문제

- 히스토그램에 대한 설명

- 추정에 대한 설명

- 기타 키워드 위주 생각 나는 거 : 홀드아웃, 군집 추출법, 은닉층 뉴런의 갯수 , 산포 측도, 교차분석...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